상품명 | 임상 치의학 레이저 |
---|---|
판매가 | 185,000원 |
포인트 | 18,500포인트 (10%) |
국내·해외배송 | 국내배송 |
배송비 | 무료 |
수량 | ![]() ![]() |
SNS 상품홍보 | ![]() ![]() |
---|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명 | 상품수 | 가격 |
---|---|---|
임상 치의학 레이저 |
![]() ![]() |
185000 (![]() |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
Chapter 1
레이저의 기본정보(Basic Information on Lasers)
1.1 서론(Introduction) 1
1.2 광원의 성질, 조건들(The Nature, Properties and sources of Light) 3
1.2.1 빛이란 무엇인가? 3
1.2.2 빛의 조건 4
1.2.3 빛의 근원 8
1.3 레이저의 기능을 위한 광학적 개념
(Optical concepts for the function of a Laser 11
1.3.1 흥분된 방출과 레이저 매개물의 증폭 11
1.3.2 레이저의 기본개념 13
1.3.3 실전 레이저의 레벨 개념 15
1.3.4 레이저 공진기와 출력 방사선 18
1.3.5 레이저의 특정한 진동수와 레이저의 순간적인 시술 체제 23
1.4 레이저 매체, 힘의 입력과 광학적 출력
(Laser Media, Power Input and Optical Output 29
1.4.1 레이저 매체 29
1.4.2 펌핑방법과 개념 33
1.4.3 기하학적인 그리고 빈번한 레이저 출력의 변환 34
1.5 구강 치료에 관련된 특별한 레이저들
(Specific Lasers Relevant for Oral Applications) 38
1.5.1 Excimer Laser 38
1.5.2 Argon Ion Laser 39
1.5.3 Helium-Neon Laser 40
1.5.4 Semiconductor diode Lasers 41
1.5.5. Ruby and Alexandrite Laser 45
1.5.6 Titanium-Sapphire Laser 47
1.5.7 Neodymium and Ytterbium Lasers 49
1.5.8 Holmium and Holmium-Thulium Lasers 51
1.5.9 Erbium and Erbium-Chromium Lasers 52
1.5.10 Carbon Dioxide Laser 53
1.6 참고도서와 참고문헌(Textbooks and References) 55
1.6.1 참고도서 55
1.6.2 참고문헌 55
Chapter 2
레이저의 안정성(Laser Safety)
2.1 서론(Introduction) 57
2.2 최대허용노출(Maximum Permissible Exposure) 59
2.3 레이저 분류(Laser Classes) 60
2.3.1 Class 1 60
2.3.2 Class 2 60
2.3.3 Remarks on laser classes 1 M and 2 M 61
2.3.4 Class 3A(Old Class) 61
2.3.5 Class 3B 61
2.3.6 특별한 Class 3B(지난 분류) 61
2.3.7 새로운 Class 3R 62
2.3.8 Class 4 63
2.4 이차적 위험요소(Secondary hazards) 64
2.4.1 일반적 위험요소(common hazards) 64
2.4.2 증기와 먼지 66
2.5 보호장비 등(Protective Measures) 67
2.5.1 레이저 보호안경 67
2.5.2 조직적 보호방법 69
2.5.3 기술적 보호방법 69
2.6 기준과 법률규정(Standards and Legal Rules) 71
2.6.1 레이저 안전위원회 71
2.6.2 법률적 범위 72
2.6.3 사건과 사고시의 행동양식 72
Chapter 3
와동형성(Cavity Preparation)
3.1 총론(Overview) 75
3.1.1 레이저를 이용한 와동형성의 발달 75
3.2 와동형성 기술(Technologies for Cavity Preparation) 77
3.2.1 적응증-특별한 문제들 77
3.2.2 전통적인 방법- 회전기구 78
3.2.3 역학적 와동형성 - KCP 80
3.2.4 레이저 이용한 와동형성 80
3.3 레이저에 의한 와동형성(Laser-supported Cavity Preparation) 86
3.3.1 Er:YAG와 Er,Cr:YSGG Lasers 86
3.3.2 레이저로 형성된 와동의 표면특성 90
3.3.3 레이저로 형성되고 접착기술이 사용된 와동의 접착과 변연 93
3.3.4 레이저로 형성된 와동의 우식-예방 특성 99
3.4 제거기전(Mechanisms of Ablation) 100
3.4.1 개요 100
3.4.2 제거의 효과와 질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 101
3.4.3 현재 레이저 시스템의 물리적 제한 111
3.4.4 치과경조직에서 최소한 부작용을 얻는 레이저시시템 최적화 규정을 위한 결론 112
3.4.5 미래의 전망 113
3.5 다른 종류의 레이저(Other Laser Types) 122
3.5.1 CO2 laser 122
3.5.2 Nd:Yag laser 122
3.5.3 Ho:Yag laser 123
3.6 레이저를 이용한 와동형성 실제 과정 - 진료 작업
(Practical Procedure in Laser-assisted Cavity Preparation -
Clinical Work) 124
3.6.1 러버댐의 적용 124
3.6.2 와동의 전시 124
3.6.3 와동 제거 125
3.6.4 와동의 완성 125
3.6.5 지침의 선택 126
3.7 임상 증례(Clinical Cases) 127
3.7.1 와동형성 Class Ⅰ,Ⅱ,Ⅲ 127
3.7.2 열구 전색 127
3.7.3 Veneer 128
3.7.4 Gold Inlay 129
3.7.5 Ceramic Inlay 130
3.7.6 Maryland Bridge 132
3.7.7 심미적인 전치 수복 134
3.7.8 심미적인 재건 134
3.8 참고문헌(References) 136
Chapter 4
광중합
4.1 서론(Introduction) 139
4.2 일반론(In General) 141
4.3 광중합 반응(Photopolymerization Reaction) 150
4.4 전통적인 방법에 대비한 레이저 광중합
(Laser Photopolymerization versus Traditional Methods) 153
4.5 레이저 중합 재료의 향상된 임상적 이용
(Improved Clinical Performance of Laser Cured Materials) 161
4.6 레이저에 의하거나 레이저 활성 불소를 이용한 우식 예방
(Caries Prevention by Laser and with Laser activated Fluoride) 162
4.6.1. 아르곤 레이저를 사용할 시 법랑질에서 레이저 예방과 레이저 불소 효과 162
4.6.2 활동 기전 : 법랑질 164
4.6.3 활동의 기전 : 치근면 166
4.7 일반적인 고려사항(General Considerations) 167
4.8 Argon laser를 이용한 광중합의 임상적인 시행과정
(Clinical Procedue of Photopolymerization by an Argon Laser) 169
4.9 임상 증례(Clinical Cases) 172
4.9.1 도입(Introduction) 172
4.9.2 심미 치의학(Esthetic Dentistry) 173
4.9.3 높은 우식증 감수성(High Caries Sensitivity) 178
4.9.4 기능적 문제들 181
4.9.5 교정적 문제점 182
4.9.6 치주적 문제 183
4.9.7 소아치과학 184
4.9.8 노인치과학 185
4.9.9 치과보철학 187
4.10 참고문헌(References) 189
Chapter 5
우식예방(Caries Prevention)
5.1 서론(Introduction) 193
5.2 전통적 치료방법(Conventional Treatment Methods) 195
5.3 예방치학에서의 레이저 적용(Laser Application in Preventive Dentistry) 196
5.3.1 역사적인 측면 196
5.3.2 치과 경조직과 빛의 상호작용 196
5.3.3 산란과 흡수특성 197
5.3.4 레이저 조사기전과 개선된 우식 저항성 200
5.4 CO2 laser의 우식예방 효과(The Caries Preventing Effect of CO2 Laser) 204
5.4.1 파장과 파동지속기간의 영향 205
5.4.2 펄스 숫자의 영향 207
5.4.3 파장과 fluence의 영향 208
5.4.4 구강안전 지침 210
5.4.5 표면 형태 211
5.4.6 균열의 문제 212
5.4.7 연마된 법랑질 213
5.4.8 연마되지 않은 치관 214
5.4.9 Pulse-Width Effects on Unpolished Human Enamel 214
5.4.10 CO2 Laser 조사와 불소처치의 복합효과 216
5.4.11 임상적인 측면 217
5.5 Argon Laser의 우식예방 효과
(The Caries Preventing Effect of Argon Laser) 219
5.5.1 구강 안전지침 219
5.5.2 표면 형태 221
5.5.3 Argon Laser 조사와 불소처치의 복합효과 222
5.5.4 임상적인 측면 224
5.6 Nd:YAG Laser의 우식예방 효과
(The Caries Preventing Effect of Nd:YAG Laser) 225
5.6.1 구강 안전지침 227
5.6.2 표면형태 228
5.6.3 Nd:YAG laser와 불소치료의 복합효과 229
5.6.4 임상적인 측면 231
5.7 Er:YAG, Er,Cr:YSGG, Ho:YAG 그리고 UV laser의 우식 예방 효과
(The Caries Preventing Effect of Er:YAG,Er,Cr:YSGG,Ho:YAG
and UV Laser) 232
5.8 결론(Conclusion) 234
5.9 참고문헌(References) 235
Chapter 6
근관치료에서의 레이저(Lasers in Endodontics)
6.1 서론(introduction) 241
6.1.1 치의학에서 근관학의 중요성 241
6.1.2 근관적 문제의 확인 241
6.2 기존 작업 과정(Conventional Working Methods) 253
6.2.1 화학기계적 소독 253
6.2.2 레이저를 통한 근관 멸균 소독 254
6.3 다양한 파장의 기술(Description of the Different Wavelengths) 268
6.3.1 Nd:YAG laser 268
6.3.2 The Diode Laser 274
6.3.3 The Er: YAG and Er,Cr:YSGG Lasers 275
6.4 치근관 형성(Root Canal Shaping) 278
6.5 치근첨 폐쇄(Apex Sealing) 281
6.6 레이저 치료의 안전성(Safety in Laser Treatment) 284
6.7 적응증(Indications) 288
6.8 실질적 절차(Practical Procedure) 290
6.8.1 와동 입구의 형성(Preperation pf the enterance cavity) 290
6.8.2 치근관의 형성(Root canal Preperation) 290
6.8.3 레이저 치료 296
6.8.4 근관 충전 298
6.9 임상적 증례(Clinical Cases) 300
6.10 미래의 전망(Future Perspectives) 306
6.11 참고문헌(References) 309
Chapter 7
영구치와 유치에서의 치주복조와 치수절단술
(Pulp Capping and Pulpotomy in Permanent and Primary Teeth)
7.1 직접 치수복조(Direct Pulp Capping) 315
7.1.1 소개 315
7.1.2 전통적 치수복조 316
7.1.3 레이저를 이용한 치수복조 318
7.1.4 Laser Doppler Flowmetry 322
7.2 치수절단술(Pulpotomy) 323
7.2.1 소개 323
7.2.2 성공률 323
7.2.3 과정 324
7.3 참고문헌(References) 329
Chapter 8
레이저를 이용한 치주 치료(Laser-Assisted Periodontal Therapy)
8.1 서론(Introduction) 333
8.1.1 일반적인 경우 333
8.1.2 적응증 중에 특수한 문제들 333
8.2 레이저 대 기존의 치료(Laser Versus Conventional Therapy) 343
8.2.1 기존의 치료 344
8.2.2 레이저 346
8.2.3 조직들에 대한 레이저들의 효과 346
8.2.4 각각의 레이저의 장점과 단점 - 문헌적 고찰 347
8.3 실제적인 과정(Practiocal Procedure) 365
8.3.1 병력청취 365
8.3.2 임상적인 준비 367
8.3.3 절차 367
8.4 증례 연구(Case Reports) 371
8.4.1 임상증례 연구 371
8.5 참고문헌(References) 374
Chapter 9
상아질 과민증 치료(Dentin Hypersensitivity)
9.1 서론(Introduction) 377
9.1.1 상아질 과민증에 대한 이론들 378
9.1.2 치수의 자연방어기작(Natural Pulpal Defense Mechanism) 380
9.2 전통적인 치료방법(Conventional Treatment Methods) 382
9.2.1 치료법의 요구사항 382
9.2.2 전통적인 치료방법 382
9.2.3 일반적 약제 382
9.3 상아질 과민증 치료를 위한 레이저 이용
(Laser Application for Dentin Hypersensitivity Treatment) 386
9.3.1 낮은 출력의(저수준의) 레이저들 386
9.3.2 중간 출력의 레이저들 387
9.3.3 직접적 방법 390
9.3.4 간접적 방법 390
9.4 지각 과민 상아질의 치료에서 임상적인 과정
(Clinical Procedure in Treatment of Hypersentsitive Dentin) 397
9.5 증례(Case) 398
9.6 참고문헌(References) 399
Chapter 10
레이저를 이용한 미백(Laser-Assisted Bleaching)
10.1 서론(Introduction) 407
10.2 일반적인 개념(In General) 408
10.2.1 치아변색의 원인 408
10.2.2 외인성 변색 408
10.2.3 내인성 변색 409
10.2.4 치료선택 413
10.3 표백(Bleaching) 416
10.3.1 과산화수소의 화학적 성질 416
10.3.2 치아의 표백기전 417
10.3.3 표백의 안정성 418
10.4 레이저 대 통상적 방법(Laser versus Conventional Means) 420
10.5 임상절차(Clinical Procedure) 429
10.5.1 진단과 치료계획 429
10.5.2 임상 절차 429
10.6 임상증례(Clinical Cases) 433
10.6.1 서론 433
10.6.2 노란 변색 435
10.6.3 단일치와 단일치의 내부 미백(bleaching)의 레이저조사(lightening) 437
10.6.4 갈색 변색 439
10.6.5 회색 변색과 테트라싸이클린 착색 440
10.6.6 발생되는 문제점 443
10.7 참고문헌(References) 446
Chapter 11
레이저 중심 수술학(Laser-Atlas Surgery)
11.1 서론(Introduction) 449
11.2 수술 적응증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점들
(Specific Problems in the Context of Surgical Indications) 450
11.3 전통적인 치료(Conventional Therapy) 452
11.4 레이저 치료(Laser Therapy) 454
11.5 치과수술에서 사용되는 레이저(Laser Used in Dental Surgery) 463
11.5.1 현재 치과적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463
11.5.2 요약 466
11.6 적응증(Indications) 467
11.7 레이저 이용시 흔한 질문들
(Frequently Asked Questions When Using a Laser 468
11.8 실제 절차(Practical Proceedings) 470
11.9 징후와 증례(Indications and Cases) 472
11.9.1 양성 종양 472
11.9.2 백반증과 전암 병소 484
11.9.3 구강 평편태선 488
11.9.4 Mucocele/Ranula 488
11.9.5 보철 전 수술 491
11.9.6 소대절제술 492
11.9.7 치아매식학/임플란트 주위염 493
11.9.8 치주 수술 494
11.10 참고문헌(References) 496
Chapter 12
광활성 소독(Photoactivated Disinfection(PAD))
12.1 서론(Introduction) 503
12.2 광역학적 치료 - PAD의 기원(Photodynamic Therapy-the Origins of PAD) 505
12.3 PAD의 원칙(Principles of PAD) 506
12.4 광감광제(Photosensitizers) 507
12.5 PAD 술식의 임상적인 측면(Clinical Aspects of the PAD Technique) 509
12.6 PAD에서의 레이저 사용(Laser Used in PAD) 510
12.7 PAD의 실험적, 임상적인 연구(Laboratory and Clinical Studies of PAD) 511
12.8 PAD의 안전문제(Safety Issues eith PAD) 514
12.9 요약과 결론(Summary and Conclusions) 515
12.10 참고문헌(References) 516
Chapter 13
저수위 레이저 치료(Low Level Therapy(LLLT))
13.1 도입(Introduction) 521
13.2 작용기전(Mechanism of Action) 523
13.3 창상 치유 동안 LLLT의 세포에 대한 효과
(Cellular Effects of LLLT During Wound Healing) 525
13.4 LLLT와 신경 조직(LLLT and Neural Tissues) 528
13.5 LLLT의 임상적 응용(Clinical Applications of LLLT) 530
13.6 최첨단 LLLT 임상(Frontiers of Clinical Practice for LLLT) 533
13.7 LLLT 기술(LLLT Technology) 534
13.8 LLLT 장비(LLLT Equipment) 535
13.9 결론(Conclusions) 537
13.10 참고문헌(References) 538
Index 541
역자 서문
최근 치의학 분야에서 획기적인 변화와 발전이 있는 분야가 implant와 레이저 분야이다. 특히 레이저 분야는 과거에는 연조직의 처치에만 관심이 있는 상황에서 최근에 경조직 처치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급속한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Implant와 레이저 분야의 발전은 치과계에 커다란 파급효과를 가져왔으며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지만 치과계의 파이가 증가했다는 면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Er 계열의 레이저에서부터 Nd, Ar, CO2등 다양한 매개체에 따른 레이저의 개발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파장의 길이와 높이, 지속 시간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국내에서는 일부 치과계에서 임상적인 성과와 한계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임상적 데이타와 임상적인 원리를 뒷받침하는 기초적인 내용을 충실하게 수록한 Moritz 교수의 Oral Laser Application이라는 책자는 저희들에게 한편의 감동으로 다가왔다. 임상에서 실수하기 쉬운 원리와 내용에 대한 부분을 솔직히 지적한 부분이나 기초적인 연구 분야의 심도 깊은 자료 제시 부분들이 많아서 임상의에게 무엇보다 추천하고 싶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향후 이 책이 한국 내에서 임상 치의학 레이저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그동안 수고와 정성을 다해 주신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 교실원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본 교재를 성의있게 지적해 주신 대한임상치의학레이저연구회 김영조, 김현종, 염문섭, 정기천, 황재홍 선생님께 무엇보다 깊은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본 교재가 출판되기까지 수고해 주신 한국퀸테센스출판(주) 노윤종 사장님과 직원 여러분께도 아울러 깊은 감사를 표한다.
2007년 4월 연구실에서
역자일동
ISBN 978-89-85917-71-1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에 대해 궁금한 점을 해결해 드립니다.
게시물이 없습니다